단거리 선수 근육과 마라톤 선수 근육은 다르다

스포츠 선수들 중 단거리선수들은 근육이 울퉁불퉁하고 우람한 반면에 마라톤 선수들은 근육이 있는지 없는지 모를 정도다. 왜 그럴까 ?

보통 사람의 근육은 속근 과 지근으로 나뉜다. 속근은 순간적인 힘을 발휘하는데 적합하고 지근은 지구력을 발휘할때 좋다.

속근은 웨이트트레이닝을 하면 발달한다.  속근은 흰빛을 띤다.  장미란 같은 선수나 단거리 선수의 근육이 울퉁불퉁한 것은 속근 때문이다.

보기와는 달리 역도 선수의 순발력이 태릉 선수촌에서 1,2위를 다투는 것도 바로 이 속근 덕이다. 단거리 경주를 하면 역도 선수들이 축구나 핸드볼 같은 구기 선수들을 체치고 2,3위를 차지하는 것은 흔한 일이다.

작고 섬세한 근육으로 이루어진 지근은 마치 참나무처럼 겉으로 보기에는 없는 것 같지만 속이 꽉 차 있다.  색깔은 붉다.

지근은 조깅등 유산소 운동을 해야 발달한다.  동물들 중에서도 사자, 호랑이등 육식동물은 지근이 발달해 날씬하다. 사슴은 사자에게서 도망갈때  500m 정도 도망가는데만 성공하면 살수 있다.

지근이 발달하지 못한 사자는 먼 거리까지 계속해서 빠른 속도로 뒤쫓을 수 없기 때문이다.

마라톤 감독들은 선수를 데려올때 ‘사슴같은 발모’, ‘통자형의 두툼한 가슴’, ‘작은 머리’를 가진 선수를 최고로 친다.  바로 이런 선수들이 지근이 발달했기 때문이다.

황영조와 이봉주가 그 대표적인 예이다.

보통 속근이 발달하면 지근은 상대적으로 덜 발달하게 된다.  반대로 지근이 발달하면 속근이 약해진다.  그래서 육상에서는 속근과 지근이 골고루 발달해야하는 중거리 (800m, 1500m)종목이 가장 어렵다.

단거리 선수들은 더운 날씨를 좋아하고 마라톤 선수들은 쌀쌀한 날씨를 좋아한다.  이것도 속근과 지근의 성질이 다르기 때문이다.

날씨가 추우면 우람한 근육은 떨림 즉, 경련 현상이 쉽게 일어난다.

지근은 더위에 약하다.  마라톤의 최적 기온이 섭씨 9도 안팎인 것도 이것과 관련이 있다.  약간 쌀쌀하고 건조한 날씨가 마라톤에 좋다.

섭씨 38도를 오르내렸던 1996년 애틀랜타 올림픽에서 육상 단거리 남자 100m, 200m에서 도노반 베일리와 마이클 존슨이 세계신기록을 낸 것을 비롯해 역도에서 14개의 세계신기록이 쏟아진 것은 속근이 좋아하는 더운 날씨 때문이다.

현대 스포츠의 생명은 뭐니 뭐니 해도 ‘스피드’이다.

어느 종목이든 이제 스피트가 없는 선수는 설 땅이 없다.  아무리 기술이 좋아도 스피드가 없는 선수들은 올림픽이나 세계무대에서 결코 이길 수 없다.

스피드는 대부분 선천적으로 타고난다.  기술은 후천적으로 가르칠 수 있지만 스피드는 훈련으로 향상되는 데 한계가 있다.

빠른 선수는 태어날 때부터 보통사람들보다 유난히 속근이 발달해 있다.  스포츠 꿈나무를 조기에 발굴해야 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무료스포츠중계

“단거리 선수 근육과 마라톤 선수 근육은 다르다”에 대한 1개의 생각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위로 스크롤